√ 표시: 저술 완료
- Play 프레임워크의 시작과 발전 √
- Play를 이루는 기술 구조 √
- Play 개발환경 구성 √
가상머신기반의 개발 환경- 처음 만나는 Play 웹앱 Hello Play! √
- Play 웹앱 기본구조 √
- 템플릿 구조를 이용한 레이아웃 설계 √
- 스칼라 템플릿으로 만드는 회원가입 √
- Bootstrap을 이용한 반응형 Play 웹앱 √
- Validator로 입력값 검증 √
- 세션,플래시,쿠기를 이용한 로그인/로그아웃 √
플래시를 이용한 메시징- 파일 업로드 √
- http 라우팅
- h2 데이터베이스 연동 √
-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연동 √
- ORM 엔진 ebean으로 CRUD 구현
- DB 스키마 관리도구 Evolution
- YAML로 준비하는 기본 데이터
- 캐시로 사진조회를 빠르게
- i18n으로 다국어 지원
- Global로 예외처리
- JUnit 테스트 코드
- 젠킨스로 Play 웹앱 빌드환경 구성
- Heroku 배포 √
- AWS EC2 인스턴스 배포
- AWS S3 파일 업로드
- Deadbolt로 권한관리
- Docker 컨테이너 배포
- JSON 형식으로 데이터 주고받기
- XML 형식으로 데이터 주고받기
- 페이스북 로그인
- Actor로 메일 전송
- Activator 콘솔 명령어
- sbt
- 플러그인
- 모듈